혈압은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으로 나타내는데 120/80이 혈압정상범위 입니다.고혈압을 140/ 90 이상 저혈압을 100/60 이하입니다.
혈압자체로 는 증상은 없지만 이로인해 여러가지 질환이생겼을때 2차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있습니다. 지금부터혈압정상범위 의 의미와 혈압을 유지할수 있는 방법에대하여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혈압정상범위 의 의미와 수치
혈압에 문제가 생기는 것은 유전적인 요인,비만,음주,나트륨섭취와 연관이 있습니다.
혈압이 빠르게 뛴다는 것은 그만큼 심장에서 펌프질을 많이 하여서 심장쪽에 부담을 많이 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구분 | 수축기혈압 | 이완기혈압 |
저혈압 위험수치 | 50 | 40 |
저혈압 | 100 | 60 |
정상혈압 | 120 | 80 |
고혈압 전단계 | 120~139 | 80~89 |
1기고혈압 | 140~159 | 90~99 |
2기 고혈압 | 160 | 100 |
고혈압 위험수치 | 180 | 120 |
혈압정상범위 의 중요성
고혈압은 ‘침묵의 사신’으로 불리웁니다. 그 이유는 고혈압으로 인한 특이 질환은 없고 수년에서 수십년동안 서서히 혈관에 손상을 입히게 됩니다.
고혈압으로 오랫동안 심장이 많이 사용되면 심장벽이 두꺼워지면서 기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로 인하여 뇌졸증 심부전,관상동맥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저혈압은 평소에 어지럽거나 기운이 없고 쉽게 피곤한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징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는 기립성 저혈압
자율신경계에 이상이 생겨 일시적으로 심한 저혈압이나 심장이 느리게 뛰어서 실신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슴이 답답하고 메스껍고 힘이 빠지기도 합니다.
혈압정상범위 유지 관리 하는 방법
고혈압은 규칙적인 관리가 가장 중요합니다. 관리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 정상체중유지 건강한 식습관,금주,염분섭취 제한 저지방 식사 스트레스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고혈압은 바로 증상이 없더라도 합병증이 생길 수 있기때문에 미리미리 조절하셔야 합니다.
만약에 생활관리로 조절이 되지 않는다면 혈압약을 먹으면서 관리를 하셔야 합니다. 혈압은 수시로 변화가 있을 수 있기때문에 잘 조절할 수 있도록 수시로 확인을 해야합니다.
저혈압에 속하지만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따로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기립성저혈압일 경우 평소 식사시 염분 섭취를 좀더 늘려주고 아침에 일어날때 서서히 일어나는 생활관리를 하면서 증상을 체크 해보면 됩니다.
지금까지 혈압정상범위 와 고혈압 저혈압 일때 생길 수 있는 증상들과 유지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혈압조절을 통하여 다른 2차적 합병증이 생기지 않도록 미리미리 관리하는 습관을 갖도록 합시다.
같이 보면 좋을 자료
복부팽만증 원인과진단치료 생활관리법 (dodamforce.com)